남귀순 기자
【에코저널=서울】올해 국내 및 국제선 항공기 4편 중 1편은 항공기 지연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에어서울 국제선’항공기 지연율은 43.6%, ‘이스타항공 국제선’ 항공기 지연율은 37.2%에 달하는 등 저비용(LCC; Low Cost Carrier) 항공사에서 높은 지연율을 기록했다.
2024년 항공사별 지연 현황.(출처 국토교통부 자료, 안태준 의원실 재가공)
1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안태준 의원(경기 광주시을)실이 국토교통부를 통해 확보한 ‘최근 5년간 항공기 지연현황(항공사별)’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까지 국적사 중 가장 높은 항공기 지연율을 보인 '에어서울'의 경우 국제선 운항편 총 5678편 중 2476편(43.6%)의 운항이 지연됐다.
지연 원인은 ▲연결 문제가 1505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항 및 출입국 절차 문제가 543건 ▲항공교통흐름 문제가 187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에어서울은 국내선 역시 총 2240편 중 812건이 지연되면서 36.3%의 높은 지연율을 보였다.
국적사 중 두 번째로 지연율이 높은 곳은 총 5318편 중 1979건(37.2%)의 운항이 지연된 ‘이스타항공 국제선’이었다. 이스타항공은 국내선은 총 1만7377편 중 3993편의 운항 지연으로 23.0%의 지연율을 보였다.
이외에도 ▲티웨이 항공(국내선 34.6%, 국제선 31.5%) ▲진에어(국내선 27.1%, 국제선 33.8%) 등 LCC 항공사에서는 대부분 최대 30% 이상의 지연율을 보였다. 가장 큰 규모의 국적사인 ▲대한항공(국내선 17.3%, 국제선 24.6%)과 ▲아시아나(국내선 17.0%, 국제선 25.6%)의 경우 각각 17~26% 내외의 지연율을 기록했다.
국적사 중 가장 낮은 지연율을 기록한 항공사는 ▲에어부산(국내선 10.4%, 국제선 15.6%)과 ▲에어로케이(국내선 9.8%, 국제선 20.4%)이었고, 국제선만 운영하고 있는 외항사들은 평균 22.2%의 지연율을 보였다.
안태준 의원.
안태준 의원은 "지연이 잦은 항공사에 대해서는 국토교통부의 관리·감독 강화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며 “지연 발생에 따른 피해보상 매뉴얼도 체계화하는 등 항공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