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미국 항공우주국, 국제 학술대회 개최
기사 메일전송
국립환경과학원·미국 항공우주국, 국제 학술대회 개최 정지궤도 환경위성 활용 북반구 대기질 연구 협력 
  • 기사등록 2024-08-25 14:05:38
기사수정

 

【에코저널=인천】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8월 26일부터 30일까지 하와이에서 미국 항공우주국과 공동으로 국내외 10여 개국 80개 기관이 참여하는 ‘한미 정지궤도 환경위성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0년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을 발사해 하루 평균 8회 아시아 전역의 대기오염물질 정보를 파악하고 있다. 환경위성 기술 습득 등 저변 확대를 위한 환경위성 국제 학술대회를 2010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번 국제 학술대회는 2023년 세계 2번째로 발사한 미국의 정지궤도 환경위성 ‘TEMPO(Tropospheric Emissions: Monitoring of Pollution)’와 우리나라의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GEMS(Geostationary Environmental Monitoring Spectrometer)’ 운영기관 간 위성 기술 공동 연구 및 활용 증대 등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미국 항공우주국에서 제안해 마련됐다.

 

이번 국제 학술대회를 통해 ▲위성 정확도 검증·개선 ▲위성·항공·지상 연계 연구 ▲아시아 대기질 국제공동조사 ▲후속 환경위성 개발 ▲인력교류 등에 대한 한미 협력 사안이 구체화될 예정이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다양한 주제로 150여 개의 발표·토론이 진행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우리나라 환경위성 정확도 개선 결과 및 운영·활용 현황과 향후 계획에 관해,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미국 정지궤도 환경위성의 대기질 개선에 공헌할 가치에 관해, 유럽우주국에서는 ▲2017년에 발사한 저궤도 환경위성(Sentinel-5P)의 운영 사항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학술대회와는 별도로 국립환경과학원은 ▲미국 항공우주국과 정지궤도 환경위성 관련 연구·인력 교류 ▲북반구 대기질 공동 조사 ▲미세먼지 탐사 위성(MAIA; Multi-Angle Imager Aerosols)을 이용한 한반도 대기질 연구 등에 관한 추가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국립환경과학원은 미국해양대기청과 후속 환경위성 개발 협력 등을 주제로 논의할 예정이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이번 국제 학술대회는 전 세계 환경위성 분야 최고 권위자들이 참여하는 자리”라며 “국립환경과학원은 해외 위성 연구 기관과의 지속적인 국제협력을 통해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 운영국으로서의 위상과 환경위성 활용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8-25 14:05:38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