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에코저널=서울】전국 지방자치단체의 31곳에서 3일 점심시간 동안 4만3320명이 1만649개의 1회용컵을 사용했다.
전국 21개 환경운동연합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청사 내 1회용컵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여수시청.(여수환경운동연합)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 지침’의 제 3조 1항에 따르면 ‘공공기관은 공공기관의 청사에서 또는 공공기관이 주최하는 회의나 행사에서 1회용품, 페트병, 우산 비닐 등의 제품을 구매⋅사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명시돼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청사 내 1회용컵 반입을 금지하고 있는 곳도 있으나,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4명당 1개(24.8%)의 1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1회용컵 사용률 또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먼저 권역별 1회용컵 사용률을 살펴보면 ▲영남권 28.7%(1만2860명 3685개) ▲수도권 23.3%(1만6080명 3738개) ▲호남권 22.9%(9950명 2274개) ▲충청권 21.9%(4357명 952개) 순으로 나타났다. 1회용컵 사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광역시로 울산 중구청에서 71.3%(122명 87개)를 기록하며, 가장 낮은 지역과 약 34배의 차이를 보였다.
전북특별자치도청.(전북환경운동연합)
1회용품을 규제하고 사용을 줄이는 모습을 선도적으로 보여줘야 할 주무부처인 환경부마저도 평균을 웃도는 30.4%를 기록하며, 10명 중 3명 이상이 1회용컵을 사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반면에 1회용컵 사용률이 가장 낮은 지역은 당진시(2.1%)와 전북특별자치도(3.9%)로 각각 2024년 6월 17일, 2024년 4월 1일부터 청사 내 1회용컵 반입을 금지한 것으로 확인됐다.
공공기관 내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1회용품 사용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국내 1회용 플라스틱 컵의 연간 소비량은 2017년 33억개에서 2020년 53억개로 증가했다. 대표적인 1회용품인 비닐봉투 (235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