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유럽우주국, 환경위성 검증·활용 업무협약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인천】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유럽우주국(ESA)과 6월 11일 오전 유럽우주국 지구관측센터(이탈리아 로마 소재)에서 환경위성의 검증, 연구 협력 및 인적 자원 교류 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 

 

이번 협약은 우리나라(국립환경과학원 운영)의 세계 최초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과 유럽우주국에서 운영 중인 저궤도 환경위성 트로포미(TROPOMI; TROPOspheric Monitoring Instrument)의 자료를 양 기관이 상호 교환하고, 위성 자료 검증을 위한 지상 자료 교환 및 협력, 인적 자원 교류 등을 위해 마련됐다.

 

업무협약의 주요 내용은 ▲우리나라 정지궤도 환경위성(GEMS) 및 유럽우주국 트로포미 정보 상호 교환 ▲양국 간 환경위성 교정 및 검증 협력 ▲지상 관측 기기를 이용한 국제 공동 활동(캠페인) ▲국제 학술대회 공동 참여를 통한 연구 협력 및 인적 자원 교류 등이다.

 

유럽우주국은 전 지구의 육상·해양과 대기질 관측을 위해 2017년에 발사된 저궤도 환경위성인 트로포미를 개발, 운영하고 있다. 현재 운영 중인 트로포미 위성과 2026년 발사 예정인 세계 세 번째 정지궤도 환경위성 센티넬-4호 위성을 이용해 전 지구적 대기오염물질의 발생과 이동에 관한 관측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위성 활용 분야 국제 공동 연구를 위해 미항공우주국(NASA), 독일우주국(DLR), 막스프랑크화학연구소(MPIC) 등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추진해 왔다. 특히 이번 업무협약은 국립환경과학원이 2022년 10월 유럽우주국에서 주관한 페가소스(PEGASOS; Product Evaluation of Gems L2 via Assessment with S5p and Other Sensors) 활동(캠페인)에 참여한 것을 계기로 추진됐다.

 

금한승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의 위성 연구기관인 유럽우주국과의 업무협약을 통해 환경위성 기반의 연구 범위를 확장해 북반구 대기질에 관한 공동 연구 협력의 기틀을 마련하겠다”며 “대기환경 및 위성 분야 전문가 교류도 더욱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6-10 13:12:5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