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공단, ‘에어코리아 앱’ 사용자 친화적 개편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인천】환경부 산하 한국환경공단은 ‘에어코리아 앱’을 사용자 친화적으로 전면 개편해 정보 취약계층도 쉽고 편하게 대기정보를 접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8일 밝혔다.

 

공단은 지난 2014년부터 에어코리아 모바일 앱 서비스를 시작했다. 사용자 증가, 활용 연령대의 다양화와 고객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해 올해 앱 서비스를 전면 개편했다.

 

이번 개편에서 주목할 내용은 ’쉬운모드‘로 캐릭터와 큰 글자로 가독성 높은 화면을 구성했다는 점이다. 주요 기능이나 대기오염 등급에 따른 행동 요령을 대화 형식으로 직관적으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전문적인 대기정보의 이해가 어려운 어린이 등 정보 취약계층부터 시력이 불편한 고령자까지도 편리하게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이 외에도 그간 앱 사용자들이 주로 활용하는 기능을 특화하고 개선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해 사용자 환경(UI)을 대폭 개선했다.

 

각 메뉴별로 분산돼 있던 대기정보를 측정소 기준으로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도록 ‘대기정보 자세히보기’를 도입해 측정소별 과거 대기질, 항목별 대기질, 예·경보, 측정소 위치 등을 집약해 제공한다.

 

GIS 서비스를 개편해 대기정보 외에도 풍향, 강수량 등 기상정보를 융합해 제공하고, 측정망 종류별로 차별화된 아이콘으로 정보를 표출하는 등 정보 가독성을 높였다.

 

햇빛이 강해 대기 중 오존 농도가 높아지는 여름철에 대비해 에어코리아 서비스를 기존의 초미세먼지에서 오존 대응체계로 전환, 계절별 오염원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공단 안병옥 이사장은 “에어코리아 앱은 대기 환경정보 전달의 파수꾼으로서 대국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공단은 신규 앱 서비스의 출시 일정에 맞춰 에어코리아 온라인 이벤트와 환경박람회 참여를 통한 현장 홍보를 추진, 더 많은 국민이 신규 모바일 앱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4-05-28 11:15:13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 설악산국립공원 고지대 상고대 관측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