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 기자
여름철을 맞아 자칫 방심하기 쉬운 냉장보관 음식은 어떤 것일까", 또 올바른 냉장고 사용법은 무엇일까?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건강하고 안전한 여름나기를 위해 무엇보다도 안전한 음식 섭취와 함께 개인위생 관리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하면서 요령을 안내했다.
식약청에 따르면 우선 식품을 냉장고에 보관하기 전, 고기, 생선, 채소 등 신선식품은 그대로 냉장고에 넣으면 주변을 오염시켜서 다른 식품으로 2차 오염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용기나 비닐봉투 등으로 싸서 보관해야 한다. 가열조리한 식품을 냉장보관하기 전에 열을 충분히 식혀서 보관해야 한다.
냉장고의 보관실별 온도를 참고해 과실류 7∼10℃, 채소류 4∼7℃, 우유 및 유제품 3∼4℃, 식육 1∼3℃, 어패류나 닭고기 0∼3℃, 냉동식품 -18℃로 각 식품별 최적의 저장온도에서 보관해야 한다.
냉장고에 식품을 가득 채울 경우, 찬 공기가 잘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 용량의 70% 정도를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장고 내의 온도가 올라가지 않도록 문의 열고 닫음을 단시간 에 하고 반드시 제품의 식품 표시사항(보관방법)을 확인한 후 보관한다.
큰 포장 식품은 1회분씩 소량으로 나누어 랩이나 봉지에 쌓아서 보관 하면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냉동된 제품은 해동시 전자렌지를 사용하고, 상온에 방치하거나 흐르는 물을 사용하는 것은 세균이 증식할 수 있어 위험하다.
또한, 냉장 보관 중에도 위해 미생물이 증식할 수 있으므로, 70℃ 이상의 온도에서 3분 이상 재가열하여 섭취 할 것을 당부했다.
이와 함께 식약청에서는 가정, 음식점, 집단급식소 등에서 손을 깨끗이 씻는 등 개인 위생 관리와 식품 섭취시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는 등 안전한 식품 조리 및 섭취를 통해 식중독을 예방해 줄 것 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