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자 기자
질소산화물 저감 연소장치를 설치하는 중소기업의 수가 부쩍 늘어 이에 대한 대기환경 개선의 효과가 기대되고 있다.
환경부는 소형보일러의 저NOx버너(질소산화물 저감 연소장치)설치 지원사업에 대한 중소기업의 참여가 점점 늘어 지난달 말 현재 설치완료 13대, 계약완료 38대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고 8일 밝혔다.
'저NOx버너 설치 지원사업'은 올해 처음으로 실시되는 것으로 중소기업내 보일러 버너를 교체해 질소산화물을 대폭 저감하는 장치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지난 5월부터 수도권 대기질을 개선코자 저NOx버너 설치 지원을 본격 추진, 지난달 말 현재 총 51의 실적을 거뒀다.
이는 올해 수도권내 보급 목표인 94대의 절반 이상이나 추진된 것으로 질소산화물과 온실가스 저감효과도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에 따르면 저NOx버너 설치는 지원신청·결정, 설치공사 등 평균 1∼3개월이나 소요된다. 하지만 설치후 질소산화물 저감능력은 가스버너 교체시 58%, 중유에서 가스로의 연료교체시 85%나 된다.
이를 배출량으로 환산하면 추진 중인 51대의 설치만으로 연간 289톤의 질소산화물을 저감하고 내구연한 10년간 2,894톤을 저감하는 대기개선 효과를 거두게 된다. 아울러 NOx 1톤당 사회적 비용은 485만원으로 연간 289톤의 사회적비용은 14억원에 이르므로 투자대비 편익도 매우 크다.
이밖에 실제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2.8%의 연료절감율을 보여 저NOx버너의 열손실 감소 등에 의한 연료절감 효과도 뛰어난 것으로 예상된다.
연료절감에 따른 지구온난화 물질인 온실가스 배출량도 저NOx버너 1대당 연간 120톤을 저감할 수 있어 향후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대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저NOx버너 설치 지원사업의 참여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자 사후 성능검사기준의 개선, 부대설비비용 최대지원, 설치효과 집중홍보 등의 방안을 마련해 이달 부터 본격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업장 발생 질소산화물 저감대책의 경우 대형사업장은 총량규제 등의 자체 저감대책을 추진해 별문제가 없어왔다. 반면 중소업체 소형보일러의 경우 넓은 부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고가인 질소산화물 방지시설의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