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초미세먼지 배출량 전년보다 2.1% 감소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환경부 소속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는 국내 150개 기관으로부터 약 260개 기초자료를 토대로 2021년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을 산정하여 이를 공개했다.

 

이번 배출량 산정 결과는 올해 11월 29일 서울스퀘어(서울 중구 소재)에서 열린 제17차 국가 대기오염물질 배출정보 관리위원회 심의를 거쳤다.

 

배출량 산정 결과, 2020년 대비 2021년 대기오염물질 증감량은 초미세먼지(PM-2.5)가 1천톤(2.1%), 황산화물(SOx)이 1만 9천톤(10.6%), 질소산화물(NOx) 4만5천톤(4.8%) 감소했다.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1만2천톤(1.2%), 암모니아(NH3)는 8백톤(0.3%) 등 소폭 증가했다.

 

2021년 주요 오염물질 배출원별 배출량.

초미세먼지(PM-2.5),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등의 감소는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19년 11월)’과 ‘제2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2020년 12월 1일~2021년 3월 31일)’ 시행 등의 감축정책이 효과를 보인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생활 부문 활동(선박·건축용 도료 사용량, 소 사육두수 등) 증가 등 사회경제 여건의 변화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과 암모니아(NH3)의 배출량 증가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번 산정 결과는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누리집(air.go.kr)을 통해 12월 14일부터 공개된다. 사용자 이해를 돕기 위해 개선된 배출량 산정 결과를 설명하는 보고서가 내년 3월 중으로 배포될 예정이다.

 

성지원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장은 “노후석탄 발전소 가동중단, 배출기준강화, 선박연료 황함유량 기준 강화 등 그간 지속적인 미세먼지 관리정책 시행에 따라 대기오염배출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며 “다만 올겨울은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정부·지자체 뿐만 아니라 산업계 및 민간에서 ‘제5차 미세먼지 계절관리제(2023년 12월 1일~2024년 3월 31일’에 적극 동참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12-13 16:47:05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