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무소각장, 음식물쓰레기 혼합소각 추진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광주 상무소각장 소각효율이 지난해부터 시행된 음식물쓰레기 직매립 금지조치 이후 매우 낮아진 것으로 나왔다. 이는 음식물쓰레기 직매립이 금지되자 음식물쓰레기 전량이 사료화공장으로 가고 있어 상무소각장으로 들어오는 소각대상 폐기물의 수분함유량이 급격히 낮아진 결과 발열량이 설계기준치를 크게 초과하고 있기 때문이다. 발열량 증가로 인해 소각효율이 2003년에는 90%, 2004년에는 85.8%이었으나 작년에는 74.0%로 저하되고 있다.


3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상무소각장은 설계 당시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를 혼합해 1일 400톤 소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음식물쓰레기 직매립금지 조치 이전에는 쓰레기봉투에 일반쓰레기와 음식물쓰레기가 같이 섞여 있어 적정 수분함유량을 유지해 소각할 수 있었으나 음식물쓰레기 직매립금지 조치 이후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따로 수집해 전량 사료화공장으로 가고 있다. 따라서 소각대상 폐기물의 수분함유량은 설계기준에 비해 36% 저하되고 발열량은 89%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광주시에서는 폐기물관리법상 소각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당초 설계기준에 적합한 수분함유량을 유지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를 소각키로 결정하고 지난달 31일부터 음식물쓰레기를 반입하고 있다.


광주시 강민원 폐기물관리과장은 "현재 소각장에서 처리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량은 미미하기 때문에 시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면서 "소각장 발열량 상승 억제로 효율적인 소각장 운영을 위하고 자치구 비용부담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06-08-03 08:34:5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