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 해양쓰레기 58만9408톤 수거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해양폐기물 발생량은 2018년 기준 연간 14만5천톤(초목 포함)으로 나타나고 있다. 육상 기인이 65%(9만5천 톤), 해상 기인이 35%(5만톤)를 차지하고 있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병훈 위원장(더불어민주당·경기 광주시갑, 사진)이 해양환경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해양쓰레기 발생 현황’ 분석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해양쓰레기 발생량 조사에 대한 별도의 법적 근거가 없어 매년 조사하고 있지는 않으나,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 계획 수립 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최근 5년간(2018년~2022년) 해양환경공단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58만9408톤으로 나타났다. 2019년~2023년 10월 기준 5년간 해양침적폐기물은 1만6396톤, 오염퇴적물은 62만5599㎥ 정화했다.


해안가로 밀려온 쓰레기는 지자체에서 관리하기 때문에 지자체 입장에서도 해양쓰레기로 인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광역자치단체 중 최근 5년간 쓰레기 수거량이 가장 많은 곳은 전라남도 16만6387톤(36.5%)으로 가장 높고, 제주특별자치도 8만1655톤(17.9%), 충청남도 6만3346톤(13.9%), 경상북도, 경상남도, 인천광역시, 전라북도, 강원도, 울산광역시, 경기도, 부산광역시 순이다.


전국 수거량이 총 45만5521톤으로 그 양이 매년 증가하고 있어 재정 상황이 열악한 지자체에서는 해양쓰레기 수거 관련 국비 지원 확대의 목소리가 클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 연안과 외해역 및 해양생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해양폐기물은 선박사고 유발, 어업 생산성 저감, 생태계 파괴, 관광자원 및 경관 훼손, 대규모 수거·처리 비용 등이 발생해 해양쓰레기의 근본적인 발생 원인을 파악 후 예방해야 하는 실정이다.


2024년 해양수산부 예산안을 살펴보면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을 위한 기술개발사업(R&D) 예산은 2023년 63억9600만원에 비해 2024년엔 33억3500만원으로 47.9% 적게 편성돼 있다.


소병훈 위원장은 “해양쓰레기 저감을 위한 연구예산이 줄어들면 해양쓰레기 수거장비 기술개발·처리기술 개발·수거지원 기술개발 등 해양폐기물의 환경훼손을 줄이고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해결책을 찾기 힘들다”며 “해양수산부는 과학적이고 신속한 수거 방법을 찾아 깨끗한 해양환경 보전 및 안전한 수산물 관리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10-25 08:35:0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