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희망등록자 39만명 중 뇌사기증 8명 그쳐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2018~2022년 연도별 신규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자가 총 38만6577명에 달하지만, 실제 뇌사기증자로 이어진 경우는 8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서영석 의원(경기 부천시 정)이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연도별 평균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자 수는 7만 7315명인데 반해 이중 실제 뇌사기증자로 이어지는 경우는 평균 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 후 취소자는 평균 1572명, 사망자는 63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연도별 뇌사기증자 수는 연도별 평균 약 445명이었다. 그러나 이중 본인이 생전에 기증희망등록한 경우는 약 29명으로 6.6%에 불과했다. 가족 등 보호자가 동의한 경우가 약 416명으로 93.4%에 달했다.


이를 분석하면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을 하여도 실제 기증으로 이어지는 비율은 현저히 낮고, 실제 기증자 중에서는 기증희망등록을 통한 본인 의지보다 보호자가 기증을 결정한 비율이 월등히 더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서영석 의원은 “지난해 3시간에 1명이 장기기증만을 기다리다가 사망하고 있을 정도로, 점점 환자들에게 장기이식은 ‘기적’이나 다름없는 일이 되고 있다”며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을 하는 국민의 존엄한 결정을 존중하기 위해서라도, 현재 뇌사로만 한정하는 기증자의 범위를 혈액순환과 호흡기능이 종국적으로 정지된 순환정지자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및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코로나19 유행이 뇌사기증자 수와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자 수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뇌사기증자 수는 전년도 대비 7.5%가 감소했으며, 2022년에도 8.4%가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장기구득기관 의료진의 의료기관 방문 및 보호자 면담 제한으로 인한 것으로 이해된다. 더불어 장기 등 기증희망등록자의 경우도 2022년 전년도 대비 21.9%가 감소했는데,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등으로 대면 행사 및 캠페인 등의 홍보가 제한적으로 이뤄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10-18 14:30: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