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귀순 기자
【에코저널=서울】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이사장 이장우, 이하 생명보험재단)이 운영 12년차를 맞은 ‘SOS생명의전화’ 누적 상담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2011년 7월부터 2023년 6월까지 ‘SOS생명의전화’ 상담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난 12년간 총 9,492건의 자살위기상담이 진행됐다. 이중 투신 직전의 자살위기자를 구조한 건수는 2103명에 달한다.
‘SOS생명의전화’는 자살을 고민 또는 시도하는 이들의 마음을 돌리기 위해 한강 교량에 설치된 긴급 상담 전화기다. 생명보험재단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20개 교량에 총 75대의 ‘SOS생명의전화’를 설치하고, 한국생명의전화와 함께 365일 24시간 전화상담을 운영하고 있다. 상담과정에서 긴급상황이 감지되면 119 구조대·경찰과 연계해 생명 구조 작업을 진행한다. 상담과 구조가 동시에 이뤄지는 종합 자살예방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의 ‘월별 자살사망 통계’ 및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자살 사망자 수는 3229명으로 전년 동기간 2957명 대비 9.2% 증가했다. 실제로 많은 전문가들이 코로나19 이후 사회적 고립, 경제적 어려움 등 사회·경제적 변화로 자살률이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하기도 했다.
생명보험재단은 급격한 사회·경제적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서 자살의 기로에 놓인 소중한 생명을 구하기 위해 ‘SOS생명의전화’를 운영하고 있다. 한국생명의전화와 소방, 경찰 등 관계기관과 협업하며, ‘자살예방 종합대응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SOS생명의전화’ 소방-경찰 Hot Line 연계를 통한 자살시도자 구조율은 2022년 기준 무려 99.6%에 이른다.
♠‘SOS생명의전화’ 위기상담 분석결과
‘SOS생명의전화’ 이용자 성별을 살펴보면, 남성이 5404명(57%)으로 여성 3411명(36%)에 비해 1993명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20대 3075명(32.4%), 10대 2642명(27.8%), 30대 616명(6.5%) 순으로 나타났으며, 1020 이용자가 전체 중 60%를 차지했다.
상담 유형의 경우 친구 및 이성, 직장생활 등 사회적 관계 맺기에 어려움이 있는 대인관계·적응 관련 상담이 2399건(20.2%)으로 가장 많았고 진로·학업 관련 고민 2185건(18.4%), 무력감, 고독 등 인생 관련 상담이 1845건(15.6%)으로 뒤를 이었다. ‘SOS생명의전화’를 가장 많이 찾는 시간대는 교량 내 인적이 드문 밤 9시부터 자정까지 2445건(25.8%)이었으며, ‘SOS생명의전화’로 위기 상담 전화가 가장 많이 걸려 온 곳은 마포대교가 5609건(59.1%)으로 가장 높았다.
생명보험재단 이장우 이사장은 “생명보험재단은 2011년부터 12년간 ‘SOS생명의전화’를 꾸준히 운영하며 자살예방 종합대응시스템을 구축하고 국내 자살 문제에 적극 대처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일상회복 후에도 경제불황 등과 맞물려 심리적, 경제적 어려움을 겪으며 우울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생명보험재단은 코로나 이후 드러나고 있는 사회적 문제에 집중하며 자살예방 및 생명존중 문화 확산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생명보험재단은 ‘SOS 생명의전화’뿐만 아니라 청소년·청년 등 연령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월 청소년 고민나눔 플랫폼 ‘힐링톡톡’을 오픈해 메타버스 공간에서 곰돌이 아바타, 대학생 멘토와 함께 고민을 나누고 자신의 마음을 진단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2017년 9월부터 SNS 기반 청소년 종합상담시스템 ‘다들어줄개’를 운영하며 전용 앱, 카카오톡 등으로 24시간 모바일 상담을 지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