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에코저널=양평】출입기자들의 고품질 저널리즘 경쟁을 돕고, 지역 발전을 꾀해야 하는 양평군이 정반대 행보를 보이고 있다.
양평군 소통홍보담당관이 일부 기자에게는 예외규정을 적용하고, 전례 없는 과도한 특혜를 제공한다. 반면 맘에 들지 않는 기사를 작성한 기자에게는 노골적으로 핀잔을 주고, 광고도 의뢰하지 않았다. 홍보비(광고 예산)를 무기로 기자에게 으름장을 놓는 등의 행위는 과거 암울했던 시기의 정권에서나 볼 수 있었던 행태다.
‘서울∼양평고속도로’가 주민들끼리 다투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가운데 양평군 소통홍보담당관 홍보기획팀에서 기자들끼리 반목하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기자들 스스로도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일부 기자는 취재보다는 ‘잿밥(광고 수주)’에 눈의 멀어 소통홍보담당관을 압박하기도 한다. 여기서 나아가 군수를 직접 만나 광고 요청을 하기도 한다. 군수에게 전화를 걸어 광고를 언급했다는 사실도 확인된다.
한 양평군 출입기자는 “작년 말부터 양평군 출입기자들 사이에 갈등의 조짐이 조금씩 나타나더니 올해 들어서는 아주 심화되고 있는 양상”이라며 “양평군은 지역 발전과 건전한 지역 언론 육성 등을 위한 역할을 돌아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기자는 “매년 정부로부터 300억원 안팎의 국가기간뉴스통신사 지원금을 받는 연합뉴스도 정부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에서 잘못이 있으면 날카롭게 비판기사를 내보낸다”며 ““국민 혈세인 홍보 예산은 균형 있고, 공정하게 집행되어야 하는데, 양평군이 무리수를 두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사실을 넘어 전혀 근거 없는 소문까지 확산되고 있다. 소통홍보담당관 관련 에코저널의 연속보도 이유로 “에코저널 기자가 군수를 비롯해 소통홍보담당관 홍보기획팀장과 담당 직원 등을 수시로 찾아가 광고를 달라고 요구했다가 거절당했다”며 “이에 앙심을 품고, 지적 기사 작성을 이어 가고 있다”는 등의 황당한 소문도 나돌고 있다.
양평군 출입 에코저널 기자는 전진선 양평군수 취임 이후 단 한 번도 광고와 관련한 일체의 부탁은 물론 비슷한 얘기도 나눈 바 없다. 다른 기자 배석없이 유일하게 에코저널 기자만 참석한 전진선 군수와 한강유역환경청장 오찬장과 환경부 차관 만찬장에서도 마찬가지다.
에코저널 기자는 소통홍보담당관의 담당관은 물론 팀장 등 누구에게도 “광고 달라”고 요구한 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