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매립지 사용기간 2034까지 연장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가평】가평군이 매립시설 증설·사용연한 연장 등으로 생활폐기물의 안정적 처리를 도모해 나가기로 했다고 27일 밝혔다.


현재 가평군의 매립지 시설은 3만3800㎡부지에 매립용량 45만7000㎥, 사용량 42만9580㎥로 매립율이 94%에 달하고 있어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포화에 따른 대책마련이 요구돼 왔다.


이에 가평군은 지난해 상반기 착공해 추진 중인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3단계 보축공사를 금년 10월까지 완료함으로써 매립용량을 59만3000㎥로 끌어 올리고, 매립지 사용기간도 2034년까지 연장해 그간의 고심을 해결할 방침이다.




가평군의 연간 쓰레기 반입량은 3만1000톤으로 소각폐기물 1만5700톤, 음식물 6800톤, 재활용 4300톤, 매립용 4200톤이다. 이중 소각 폐기물은 파쇄 후, 강릉시 소재 시멘트 제조시설로 반출돼 소성로 연료로 활용된다.


또한 음식물폐기물은 자원센터 내 일일 20톤 규모의 퇴비화시설에서 퇴비로 만들어 연간 430톤을 관내 농가에 보급하고 있다. 재활용폐기물은 17개 품목으로 선별해 각 재활용품 수집계약업체에 판매해 연간 3억3000여만 원의 수익을 올리고 있다.


이와 함께 가평군 자원순환센터는 쓰레기 배출 편의와 자원 재활용 촉진을 위해 마을 소형배출장 확대 설치와 공동주택 음식물 종량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촌폐비닐과 폐전지류에 대한 수거보상제도와 폐아이스팩 무상 수거사업도 병행하는 등 지속적인 폐기물 재활용 사업추진으로 자원의 선순환 사회를 만들어 나가고 있다.


센터는 1일 65톤 규모의 가연성 전처리시설(MBT)을 위탁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12년 완공된 이 시설은 기계적 분리와 선별과정을 거쳐 가연성 폐기물은 고형연료(RDF)로, 음식물 등 유기성 폐기물은 고온발효 미생물에 의해 발효 후 토양개량제로 사용하는 쓰레기 자원화 시설이다.


앞서 가평군은 지난해 원활한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운영을 도모하고, 그간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으로 희생을 감수해온 가평읍 상색리의 지역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해 보다 체계적인 협력관계를 만들었다.


상색리는 1996년부터 운영돼 온 위생매립장이 소재한 지역으다. 매립장 증설과 재활용선별시설, 전처리시설 설치 등으로 30년 가까이 관내 발생 생활쓰레기를 전담 처리해온 지역이다.


가평군 관계자는 “수도권 매립장 종료 등 이제 폐기물은 발생지 처리가 원칙으로 세워지고 있다”며 “지역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 생활폐기물 처리 시설 등 기반시설 구축에 지역주민들과 지혜를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07-27 15:21:17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