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지난해 호우·태풍 피해 복구 마무리 ‘총력’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세종】행정안전부는 16일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 상황실에서 올해 장마 등에 대비해 지난해 호우·태풍 피해로 인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됐던 서울, 경기 등 지자체를 대상으로 ‘재해복구사업 조기추진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지난해에는 8월 집중호우와 9월 제11호 태풍 ‘힌남노’로 인해 전국 5640곳의 공공시설에 피해가 발생, 1조 3243억원을 투입해 해당 지자체와 관계기관에서 복구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행정안전부 이한경 재난관리실장이 주재한 오늘 회의에는 7개 시·도 실·국장과 21개 시·군·구 부단체장이 참석해 지방자치단체별로 재해복구사업 조기 추진 방안과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고, 개선방안을 논의했다.


비교적 복구공법이 단순한 소규모 사업은 올해 우기 전에 마무리하고, 대규모 사업은 신속하게 실시설계를 완료한 뒤 공사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취약 구간에 대해서는 우기 전에 시공을 완료하도록 하는 등 피해 재발 방지에 총력을 다하기로 했다.


한편, 행정안전부는 피해 발생 이후 신속한 재해복구사업 추진을 위해예산, 계약, 공사 등 분야별 담당자를 대상으로 지난해 9월부터 10월까지 권역별 상담(컨설팅) 교육을 실시한 바 있다. 또 실시설계 조기 완료와 공사 발주를 위해 서울, 경기 등 국고 지원 대상 지자체를 대상으로 대책 회의도 개최했다.


올해 2월에는 관계 전문가와 합동으로 ‘해빙기 안전관리 실태 점검’을 실시해 붕괴 우려가 있는 경사면이나 안전사고 우려가 있는 지역 등에 대해 보완 조치하도록 했다.


행정안전부 이한경 재난관리실장은 “지자체별로 재해복구사업을 신속하게 완료하고, 주민대피계획 등 안전관리계획을 보완·수정해 재해복구사업장에서 단 한 명의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준비해 줄 것”을 당부하고, “행정안전부도 신속한 재해복구사업을 위해 관계기관과 지방자치단체와 지속적으로 협력해 집중호우와 태풍 등으로 국민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3-03-16 17:05:29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