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성 기자
【에코저널=서울】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간사인 임이자 의원(상주시·문경시)은 11일, ‘기후위기 비상선언 및 대응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제시한 ‘IPCC 1.5℃ 특별보고서’는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하기 위해 2050년까지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현재와 같은 수준으로 온실가스 배출될 경우 2030년 지구 평균온도의 상승폭이 섭씨 1.5도를 넘어설 것으로 경고하고 있다.
이에 임이자 의원(사진)은 ‘기후위기 비상선언 및 대응 촉구 결의안’을 대표 발의했으며, 주요내용으로 ▲‘기후변화’ 단계를 넘어선 ‘기후위기’ 비상상황 선언 ▲저탄소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국가 에너지 및 기후정책의 중·장기 비전설정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특별위원회 설치를 통한 기후위기 대응 방안 마련과 법 제도 정비, 예산지원 ▲기후위기 상황의 해결방안 마련을 위한‘양보와 타협, 이해와 배려의 원칙’ 준수 등이다.
임이자 의원은 “대한민국 국민을 비롯한 우리 인류는 ‘기후변화’ 단계를 넘어선 ‘기후위기’ 시대에 직면하고 있다”며 “이미 전 세계의 다양한 국가와 지방정부는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움직임에 나서고 있고, 지구 평균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임 의원은 이어 “ ‘기후위기 비상선언 및 대응 촉구 결의안’ 발의를 통해 국회 내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법 제도 정비 및 예산 지원을 비롯한 기후위기 대응 방안 마련에 앞장서고자 한다”며 “기후위기 대응 마련 과정에 산업계, 학계, 시민단체를 비롯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민주적인 참여를 보장, ‘양보와 타협의 원칙’ 아래 보다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대안을 반드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