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 ‘그린뉴딜’ 지속가능성장 촉매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서울】금융위원회 손병두 부위원장이 “ ‘그린뉴딜’은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중요한 촉매역할을 할 것이고, 이를 뒷받침하는 금융지원은 견고한 디딤돌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무엇이 ‘녹색’인지를 명확히 식별함으로써 ‘그린워싱’을(무늬만 녹색) 방지하고, 시장혼선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시중 유동성에 대한 새로운 투자기회가 제공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린워싱(Green Washing)’은 Green과 White washing의 합성어로, 기업들이 실질적 친환경 경영과는 거리가 멀지만 녹색경영을 표방하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을 말한다.


금융위 손병두 부위원장은 13일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녹색금융 추진TF 킥오프’ 첫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오늘 킥오프(Kick-Off) 회의에는 금융위·환경부·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부처와 한국은행·금융감독원·한국거래소·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금융권 및 금융유관기관, UNEP FI(UN환경계획금융이니셔티브), GCF(녹색기후기금) 등 자문단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손병두 부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올해 상반기 전 세계를 덮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에 이어 최근 연일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에 대한 뉴스를 접하다 보니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미래가 걱정되지 않을 수 없는 요즘”이라며 “다소 먼 미래의 추상적 개념으로 이해되던 기후변화 대응이 더 이상 방치할 수 있는 일이 아님을 깨닫는다”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단기적으로는 피해복구를 위한 적극적인 금융지원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피해의 근본원인이 되는 기후이상에 따른 파급효과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다”며 “금융권도 이러한 국제 논의동향에 맞춰 필요한 과제들을 점검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함께 논의하는 것이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최근 국제 논의동향과 관련, 손 부위원장은 “올해 1월, 국제결제은행(BIS)은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위기 가능성을 경고하는 개념으로 ‘그린스완(Green Swan)’을 제시했다”고 소개했다.


‘그린스완’은 예견된 정상범주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기후현상이다. 리스크가 언젠가는 실재화(materialize)되는 것이 확실하다는 점에서 블랙스완과 차이가 있다.


손 부위원장은 “그린스완은 블랙스완과 같이 예측이 불가능하고 심각한 파급효과를 야기한다”며 “특히 대규모 부정적 외부효과를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우리 삶에 직접적인 위협으로 다가온다고 이야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몇 년 전부터 주요 국제기구와 선진국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금융측면의 위험에 대해 인지하고, 이에 대한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사실도 전했다. 손 부위원장은 “금융안정위원회(FSB)는 2017년 7월 기업들이 기후 리스크정보를 공시할 것을 제안했고, 2017년 12월에는 주요국 금융당국으로 결성된 녹색금융협의체(NGFS)가 발족돼 녹색금융 저변 확대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정책 방향과 관련, 손 부위원장은 “금융권에서는 기후변화가 야기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면서, 동시에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디딤돌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금융리스크 관리감독 강화 의지도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기후변화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금융시스템 안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가령, 기상이변에 따른 물적 피해가 보험, 대출, 투자 등거래관계를 통해 금융기관으로 파급될 수도 있고, 저탄소경제로의 이행과정에서 투자자들의 인식변화로 인한 탄소배출산업의 급격한 가치하락이 금융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연급했다.


손 부위원장은 “금융시장 참가자들이 입게 되는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기후변화 리스크를 식별하고 관리·감독하는 등 금융시스템 안정성 유지를 위해 기후변화에 충실히 대응해 나가겠다”며 “앞으로 금융회사들의 자산운용에 있어서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등의 전통적 리스크 외에도 ESG 요소 등과 관련한 사회적 책임투자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사업기회를 잃는 새로운 리스크 유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손 부위원장은 “금융투자자들이 투자요인 중 하나로 환경리스크를 고려할 수 있도록 환경정보 공시확대 등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 가겠다”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단순한 기후변화 대응(adaptation)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완화(mitigation)하기 위한보다 적극적인 조치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손 부위원장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힘을 합쳐 친환경분야, 신재생에너지 등 녹색산업에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녹색경제로의 전환을 선도해가야 한다”며 “국제 논의동향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NGFS, TCFD 등 녹색금융 관련 국제네트워크 가입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손 부위원장은 “기후변화 리스크가 현재화되는 시점과 영향의 정도는 다를 수 있으나, 언젠가 반드시 일어날 것이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이 긴요한 때”라며 “이러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녹색금융은 우리 경제·산업 전반에 걸친 매우 광범위한 주제인 만큼 정부부처, 관계기관, 그리고 민간이 함께 보조를 맞춰 시너지를 낼 때에만 실효성 있는 정책의 추진이 비로소 가능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20-08-13 11:40:36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