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항만 미세먼지·해양플라스틱 대응 ‘총력’
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에코저널=세종】전국 항만지역 미세먼지를 오는 2022년까지 2017년 대비 50% 이상 감축시킨다는 목표로 관리체계 정비가 추진된다. 또 해양플라스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해양플라스틱 발생원을 차단하고, 수거체계도 정비한다.


해양수산부는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9년도 해양수산부 주요업무 계획’을 발표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실현과 해양수산업의 체질개선을 위해 항만미세먼지 대응, 수산혁신, 해운재건 등이 포함된 6대 중점과제를 추진한다.



올해 상반기 중 ‘항만지역 대기질 개선 특별법’ 제정을 통해 배출규제해역과 저속운항해역을 지정하고 하역장비 배출기준을 설정하는 등 종합적인 미세먼지 관리 체계를 만든다.



환경부와 협업해 항만대기질 측정망을 설치, 실시간으로 항만 대기질 현황도 측정할 계획이다. 선박에 대해서는 배출가스 규제와 친환경 선박 지원을 강화한다. 선박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해 2020년 외항선박을 시작으로 2021년 내항선박까지 적용대상을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미세먼지를 저감할 수 있는 친환경 항만 인프라도 확대한다. 부산항, 인천항 등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는 항만에 육상전원 공급설비를 신규 설치(2019년, 8선석)한다. 항만하역 장비인 야드 트랙터도 LNG로 전환(2019년 100대)하고 신규부두를 중심으로 단계적인 의무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양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주원인인 폐부표·폐어구 자율 회수 지원 시범사업을 확대한다. ‘해양폐기물관리법’을 제정해 발생 원인자에 대한 수거 명령제도 도입, 쓰레기 해양유입 차단 의무 신설 등도 추진한다.



해양쓰레기 수거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바다지킴이를 운영하고 도서지역 해양쓰레기 관리 체계 구축과 해양미세플라스틱 분포에 대한 정기조사도 시행한다.



올해 상반기 중에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해양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종합 대책’을 마련, 범부처 차원의 대책을 추진한다.


해양수산분야 남북 협력도 차질 없이 준비한다. 독도에 대한 과학적 연구성과를 축적하고, 영해 기점에 영구시설물도 확충(2019년, 4개소)해 해양영토 영유권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



극지연구를 선도하기 위해 제2쇄빙연구선 예비타당성 조사를 추진하고 ‘극지연구 실용화 협력센터’ 건립(2019년∼2021년)에 착수한다.



남북 협력에 있어서도 대내외 여건변화에 맞추어 관계부처 협의를 통해 공동어로, 서해·동해 관광특구 등도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올해는 수산혁신, 해운재건 등 해양수산업의 체질개선과 함께, 항만 미세먼지와 해양플라스틱 쓰레기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겠다”며 산업 육성뿐만 아니라 국민 생활과 밀접한 분야에 대한 적극적인 정책 추진의지를 보였다.


0
기사수정
  • 기사등록 2019-03-07 17:17:31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오대산 ‘복수초’ 개화…봄 ‘성큼’
  • ‘동해 품은 독도’ 촬영하는 박용득 사진작가
  • <포토>‘어도를 걸을 때’
최신뉴스더보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