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희자 기자
해양생태계 훼손을 막고 수산물에 대한 안전 강화를 위해 '하수처리 오니의 해양투기가 오는 '12년부터 완전 금지된다.
이와 관련, 부산시는 하수오니, 축산폐수 해양투기에 대한 국제적 규제 강화문제와 해양 생태계를 보전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심포지엄을 14일 오후 2시, 시청 12층 국제회의실에서 개최한다.
부산지역환경기술개발센터 주최로 열리는 '하수오니 해양투기에 관한 심포지엄'에서는 △'96 런던의정서 수용을 위한 해양배출제도의 관리방향(해수부 해양보전과장) △폐기물의 해양배출 현황과 관리방안(해경청 해양오염관리국장) △유기성 폐기물의 육상처리 현황과 전망(김용진 환경부 산업폐기물과장) △하수오니의 해양배출에 대한 평가체계(정창수 한국해양연구원 책임연구원) △하수오니의 해양배출에 대한 관리방안(부경대 이석모 교수)이라는 주제로 참석자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대책방안을 모색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최근 10년간 해양투기량이 급증하면서 해저 퇴적층에는 크롬, 수은 등 중금속이 쌓이고 투기해역 수산물의 안전도 위협받고 있다"며 "이번 심포지엄에서는 하수오니의 94%를 해양투기에 의존하고 있는 부산시의 육상처리 가능 여부를 면밀히 검토하고 향후 하수오니 등 대상물질의 관리대책을 모색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하수처리오니 등 주요 폐기물의 해양투기가 매립과 재활용 소각 등에 비해 처리비용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지난 '90년 이래 16여년간 계속됐다.